吳越同舟(오월동주):적대관계에 있는 오나라와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에 탔다는 말로,
적의를 품은 사람끼리라도 필요에 따라 서로 도울 수 있다는 뜻
춘추 시대 유명한 병법서인 ≪손자≫를 쓴 손무는 오나라 왕 합려를 도와
서쪽의 초나라를 공격하고 북쪽의 제나라, 진(晉)을 격파한 명장이었다.
그의 책 ≪ 손자 ≫ 「굳이(九地) 편」에 이런 글이 있다.
"병(兵)을 쓰는 법에는 아홉 가지(굳이(九地))가 있다.
그 아홉 가지 중 최후의 것을 사지(死地)라고 한다.
과감히 일어서서 싸우면 살길이 있고, 기가 꺾이어 망설이면
패망하고 마는 필사(必死)의 땅이다.
그러므로 사지(死地)에 있을 때는 싸워야 살 길이 열린다.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상황에서 병사들이 한마음 한 뜻으로
필사적으로 싸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유능한 장수의 용병술은 상산(常山)에 서식하는
솔연(率然)이라는 큰 뱀의 몸놀림과 같아야 한다.
머리를 치면 꼬리가 나오고 꼬리를 치면 머리가 덤벼들며
몸통을 치면 머리와 꼬리가 한꺼번에 덤벼든다.
이처럼 세력을 하나로 합쳐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로부터 '오나라와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넌다'라고 치자.
강 가운데에 이르렀을 때 큰 바람이 불어 배가 뒤집히려 하자
두 나라 사람들이 서로 평상시의 적개심을 잊고
서로 왼손, 오른손이 되어 필사적으로 도울 것이다.
바로 이것이다.
전차를 끄는 말들을 서로 단단히 붙들어 매고 바퀴를 땅에 묻고서
적에게 대항하려고 해 봤자 최후에 의지(依支)가 되는 것이 아니다.
그 의지(依支)는 오로지 죽을 각오로 똘똘 뭉친 병사들의 마음인 것이다."
댓글